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SEO

구글서치콘솔에 도메인 등록! 애드센스가 도메인이라면 놓치면 큰일나요!

by Blogstar 2023. 2. 22.
반응형

개인 도메인으로 애드센스 승인 받으신 분들!

티스토리로 구글 서치콘솔 연결하셨다면 반드시 제거해 주셔야 합니다!!!

 

별표 백만개!

 

 

티스토리에는 플러그인 기능으로 자동으로 구글 서치콘솔 연결이 가능해요.

연결후 구글 서치콘솔 페이지에 가서 내 블로그인지 소유 인증 해주시면 되는데요.

구글에서 내 블로그를 잘 검색하게 해주는 거니까 특히 수익형 블로거에게는 필수 입니다!!

 

 

그런데 도메인을 별도로 구매해서 애드센스 승인을 받고

블로그에 도메인으로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다면 구글서치콘솔에는 도메인 주소로 연결하셔야 합니다!

 

 

왜 블로그 주소를 구글서치콘솔에서 제거해야 하나

 

첫째, 구글 애드센스는 개인 도메인 주소 페이지에서만 보입니다.

 

그러니까 블로그 주소로 들어가서 페이지를 보면 광고가 보이지 않아요!! 광고 수익을 잃을 수 있는거죠!

 

 

두번째, 구글은 중복 문서를 매우 싫어해요.

 

그런데 도메인 연결도 되어있고, 블로그 주소도 등록되어 있으면

두개의 다른 사이트가 중복된 문서를 등록한 것으로 구글이 오해할 수 있어요.

당연히 블로그의 콘텐츠 품질을 나쁘게 평가하겠죠.

 

특히, 블로그를 오랫동안 운영하다가 개인 도메인으로 주소를 변경한 경우,

기존에 검색되어 있던 문서들이 색인이 되어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도메인 계정의 문서들을 크롤링해서 다시 색인하면서

도메인 주소의 글들이 모두 중복 자료로 판단될 가능성이 큽니다!

 

 

구글 서치콘솔에서 블로그 주소 제거 방법

아직 안하셨다면 그냥 두시면 되지만, 만약 구글서치콘솔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로그인 상태에서 해당 계정의 왼쪽 메뉴바를 스크롤해서 내리시면 '설정' 메뉴가 보입니다.

 

 

오른쪽에 승인된 소유자 입니다. 라고 문구가 나오죠?

구글서치콘솔의 설정 페이지 상단 이미지

 

 

아래로 계속 내리시면 계정에 속성 추가됨.이라고 되어 있고 오른쪽에 속성제거 버튼이 보이실 거예요.

이 속성 제거 버튼을 눌러서 계정을 제거해 주시면 됩니다. 

 

 

 

이 속성 제거를 누르시면 아예 연결된 계정이 사라집니다.

삭제된 계정은 추후 다시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구글서치콘솔에서 속성 제거해서 URL 제거

 

 

그리고 다시 도메인 주소로 연결해 주세요.

 

구글 서치콘솔에서 블로그 도메인 주소 등록 방법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은

왼쪽 상단 메뉴바 <속성 검색>을 누르면 하단에 나오는 속성 추가를 누르세요

 

구글서치콘솔에서 속성 추가해서 도메인 등록

 

속성이 등록되면 소유권 확인하라는 팝업이 떠요.

구글서치콘솔에 등록한 도메인이 내 소유라는 것을 인증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도메인을 구입한 호스트 홈페이지에 가서 아래 TXT를 붙여넣어 소유권을 확인받아야 해요.

 

아래 보이는 빨간색 칠해놓은 부분 맨 오른쪽에 복사를 눌러서 해당 TXT 레코드를 복사하세요

 

 

도메인 호스트 홈페이지 가셔서 로그인 하신 후 등록하려고 하는 내 도메인에서 DNS 설정을 할거예요.

 

구글 서치콘솔 등록 중, 도메인 DNS 설정 방법

 

도메인 홈페이지에 가서 DNS 설정 페이지로 들어가 주세요.

그리고 지금 설정을 해야하는 도메인의 오른쪽 설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도메인 DNS 설정 변경하기

DNS 설정 옆에 붙어있는 레코드 수정을 누르시고, 추가를 선택해서 아까 복사한 값을 아래 처럼 붙여넣어주세요.

타입은 TXT, 호스트는 @, 복사한 값 붙이시고 TTL은 1800 설정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확인 누르세요

 

 

확인 누르고 저장하면 끝!

 

다시 구글서치콘솔로 돌아가세요

그리고 아까 그 메뉴에서 

 

등록이 완료 되었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메뉴 상단에서 해당 도메인 누르시면 바로 이런 화면이 떠요.

해당 URL과 관련된 모바일 URL과 하위 URL도 모두 검색이 가능해집니다.

 

 

사이트 등록 제대로 되었으니 왼쪽 메뉴바에서 Sitemap 버튼 누르시고 들어가셔서 내 URL의 Sitemap 누르시면 됩니다.

 

SItemap 추가는 본인 도메인 URL 입력 후  /sitemap 만 뒤에 넣으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0